대한민국 대표 주식, 삼성전자가 뭔가 심상치 않습니다. 장기적으로 자식에게 물려줄 주식 1위로 꼽히던 삼성전자가 과연 과거의 영광을 이어갈 수 있을지, 최근의 시장 동향을 살펴보며 투자자로서의 냉철한 판단이 필요한 시점이 되었습니다. 삼성전자의 주봉 차트와 RSI를 분석하며, 이 기업에 대한 여러 측면을 비판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삼성전자의 주봉 차트와 RSI(상대강도지수)를 살펴보면, 1995년 이후 과매도 국면에 들어선 것은 총 11번에 불과합니다. 이 희귀한 과매도 상황이 나타난 때는 대부분 글로벌 경제 위기나 악재가 있었을 시점이었습니다.
주요 시점:
하지만, 2024년의 상황은 다릅니다. 글로벌 증시는 신고가를 경신 중임에도 불구하고, 삼성전자의 기술적 흐름은 의외로 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마이크론이나 하이닉스 같은 반도체 기업과 동반 하락하며 업황에 문제가 있다고 볼 수 있지만, 그 이상의 구조적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삼성전자는 '패스트팔로워' 전략으로 시장에서 승승장구해왔습니다. 스마트폰이 처음 나왔을 때, 옴니아라는 실패작이 있었지만 이를 빠르게 보완하여 갤럭시로 성공을 이뤄냈습니다. 그러나 최근 반도체 업황에서의 대응은 기대와 달랐습니다.
HBM 문제:
1년이 넘는 시간 동안 HBM(High Bandwidth Memory) 기술에서 뚜렷한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는 삼성전자가 빠르게 변화하는 시장에 대한 대응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신호일 수 있습니다.
시스템 관리의 문제:
올해 들어 나온 여러 뉴스에서 삼성전자의 내부 관리 시스템이 흔들리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노조와의 갈등, 관리의 부실함 등이 겹치면서 장점으로 꼽히던 시스템 관리력이 떨어진 것이 아닌지 의문이 생깁니다.
삼성전자의 스마트폰 사업은 현재 폴더블 시장에서 중국 기업들의 도전을 받고 있습니다. 그동안 애플과의 경쟁에서 갤럭시 시리즈로 시장 점유율을 유지해왔지만, 이제는 폴더블 분야에서도 경쟁이 심화되고 있습니다.
파운드리 사업:
삼성전자의 파운드리 사업은 고객 맞춤형 전략이 필요한 분야입니다. 하지만 네이버와 진행하던 마하 프로젝트에서 삼성은 네이버 전용 칩을 개발하는 대신 다른 곳에도 팔 생각을 하면서 프로젝트가 중단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글로벌 고객사들이 삼성전자의 파운드리를 신뢰하고 맡길 수 있을지 의문이 듭니다.
삼성전자의 DRAM과 NAND 시장 점유율은 여전히 1위지만, 단순히 이러한 사이클 산업에서 1위를 차지한다고 해서 주식의 수익률을 높게 기대할 수는 없습니다. 시장의 흐름이 지금처럼 약세를 보일 경우, 현재 주가인 6만 원이 깨지며 5만 5천 원대로 내려갈 가능성도 있습니다. 특히 미국 대선 이후의 증시 흐름에 따라 주가가 추가적으로 하락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그러나 삼성전자의 장기적인 관점에서 긍정적인 요소도 있습니다.
삼성전자가 한국을 대표하는 기업이며 앞으로도 성장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은 분명하지만, 주식 투자자로서는 현재의 문제점과 시장의 변화를 냉철하게 바라볼 필요가 있습니다. 주식 투자는 기업에 대한 믿음만으로 하기에는 리스크가 크며, 변동성 있는 시장에서 전략적인 판단이 필수적입니다.
앞으로 삼성전자의 흐름을 더 주의 깊게 살펴보며 신중한 투자 결정을 하시길 바랍니다. 📈🤔
한국 경제, 정말 심각한 이유 📉 (11) | 2024.10.02 |
---|---|
2024년 10월, 최고의 신용·체크카드 신규 발급 혜택 모음 📈💳 (9) | 2024.10.02 |
MG새마을금고 정기예금 금리 비교 및 이율 높은 특판 살펴보기 💰💹 (0) | 2024.10.02 |
최고금리 적금 Top3: 저축은행 적금으로 높은 이자율 받는 법 💰📈 (0) | 2024.10.02 |
엔화, 미국 시장, 그리고 알트코인 동향 분석 📊💹 (3) | 2024.10.02 |